구원의 이정표/성경 핵심도표(2)6 6.성경 도량형 환산표 6.성경 도량형 환산표 성경에 기록된 사건은 대략 지금으로부터 4000-2000년 전의 사건들이다. 따라서 그 사건에 기록된 도량형들은 현대와 비교할 때 매우 원시적일 수밖에 없다. 도량형기구나 단위들이 주로 생활 주변에서 널리 쓰이던 용기들, 또는 사람의 신체 부위에서 나온 사실은 이를 잘 반영한.. 2009. 1. 12. 5. 가나안의 생활 지리 5. 가나안의 생활 지리 1. 가나안의 주요 도로 가나안은 지정학적 위치상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의 연결점이었다. 또한 실제로 고대 문명의 양대 발상지인 북동부의 바벨론 지역과 남으로 이집트를 끼고 있는 가나안에는 일찍부터 대륙을 연결하는 국제 도로가 개설되어 있었다. 이들 도로를 따라 대.. 2009. 1. 12. 4. 가나안의 자연 지리 4. 가나안의 자연 지리 1. 가나안의 경계와 명칭 사실 이스라엘이 일정 지역을 장시간 장악하여 구체적 통일 국가를 이루고 산 것은 아니다. 또 성경도 각 경우마다 그 경계에 대하여 모호한 묘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소위 말하는 가나안 땅 경계선을 확정할 기준은 없다. 다만 약속의 땅의 경계를 가장.. 2009. 1. 12. 3. 성경 역사 각 단계의 구속사적 의의 및 연대표 3. 성경 역사 각 단계의 구속사적 의의 및 연대표 어느 한 분야의 역사를 연대순으로 정리하는 것은 그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시적인 지침을 얻는데 필수적인 작업이다.이에 본 항에서는 성경역사에서 주역을 담당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성경 시대역사의 주요 사항을 정리하는 동.. 2009. 1. 12. 2. 성경 역사관의 이해 2. 성경 역사관의 이해 1. 역사관의 중요성 우리는 역사라고 할 때 크게 우주의 시공간(視空間)에서 발생했던 '사건 자체로서의 역사(history as events itself)'와 한 사가에 의해 문자로 남겨진 '기록으로의 역사(history as record of events)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정직한 역사가는 역사 사실을 진실그대로 기.. 2009. 1. 12. 1.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1.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한 나라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는 언제나 그 시대 구분이 제일 중요하다. 심지어 어느 한 사가(史家)는 '역사학이란 시대 구분 작업이다.'라고까지 평한 적이 있다. 어쨌든 이제 결국 성경 역사의 주역인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중심으로 성경 역사의 구분을 시도해 보면 대.. 2009. 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