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621(목)
자만은 금물입니다 (신명기 29:14-29)
14 내가 이 언약과 맹세를 너희에게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15 오늘 우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우리와 함께 여기 서 있는 자와 오늘 우리와 함께 여기 있지 아니한 자에게까지이니
16 (우리가 애굽 땅에서 살았던 것과 너희가 여러 나라를 통과한 것을 너희가 알며
17 너희가 또 그들 중에 있는 가증한 것과 목석과 은금의 우상을 보았느니라)
18 너희 중에 남자나 여자나 가족이나 지파나 오늘 그 마음이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떠나서 그 모든 민족의 신들에게 가서 섬길까 염려하며 독초와 쑥의 뿌리가 너희 중에 생겨서
19 이 저주의 말을 듣고도 심중에 스스로 복을 빌어 이르기를 내가 내 마음이 완악하여 젖은 것과 마른 것이 멸망할지라도 내게는 평안이 있으리라 할까 함이라
20 여호와는 이런 자를 사하지 않으실 뿐 아니라 그 위에 여호와의 분노와 질투의 불을 부으시며 또 이 책에 기록된 모든 저주를 그에게 더하실 것이라 여호와께서 그의 이름을 천하에서 지워버리시되
21 여호와께서 곧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그를 구별하시고 이 율법책에 기록된 모든 언약의 저주대로 그에게 화를 더하시리라
22 너희 뒤에 일어나는 너희의 자손과 멀리서 오는 객이 그 땅의 재앙과 여호와께서 그 땅에 유행시키시는 질병을 보며
23 그 온 땅이 유황이 되며 소금이 되며 또 불에 타서 심지도 못하며 결실함도 없으며 거기에는 아무 풀도 나지 아니함이 옛적에 여호와께서 진노와 격분으로 멸하신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의 무너짐과 같음을 보고 물을 것이요
24 여러 나라 사람들도 묻기를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이 땅에 이같이 행하셨느냐 이같이 크고 맹렬하게 노하심은 무슨 뜻이냐 하면
25 그 때에 사람들이 대답하기를 그 무리가 자기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의 조상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실 때에 더불어 세우신 언약을 버리고
26 가서 자기들이 알지도 못하고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주시지도 아니한 다른 신들을 따라가서 그들을 섬기고 절한 까닭이라
27 이러므로 여호와께서 이 땅에 진노하사 이 책에 기록된 모든 저주대로 재앙을 내리시고
28 여호와께서 또 진노와 격분과 크게 통한하심으로 그들을 이 땅에서 뽑아내사 다른 나라에 내던지심이 오늘과 같다 하리라
29 감추어진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 나타난 일은 영원히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속하였나니 이는 우리에게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행하게 하심이니라
다음 세대를 위한 언약을 체결하며, 언약을 저버린 자들에게 임할 재앙들을 선언합니다. 특히 독초와 같은 우상숭배의 쓴 뿌리를 경계하라고 경고합니다.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14,15절
언약의 계승은 신앙의 계승입니다. 모압 언약은 과거 선조들뿐 아니라 미래의 후손들에게도 해당됩니다. 하지만 그들은 출애굽과 광야에서 역사하신 하나님을 경험하지 못했기에, 그들이 하나님을 모르는 ‘다른 세대’(사사기 2장 10절)가 되지 않도록 가르쳐야 했습니다. 미래를 위한 최선의 준비는 다음 세대를 철저히 교육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이 세상에서 생존하는 기술을 익히는 데 공들이는 만큼 영원한 생존을 결정하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배우고 전수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입니까?
16~21절
언약의 맹세를 세움과 더불어 우상숭배를 경계하십니다. 애굽과 광야에서보다 풍요의 땅 가나안에서 우상의 유혹은 훨씬 더 강력할 것입니다. 그러니 욕망을 따라 우상을 섬기면서도 자신은 안전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확신을 더욱 경계해야 합니다. 헛된 자만심은 물론, 우상숭배가 주는 거짓 안전감에도 현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거짓된 확신과 평안이 죄의 심각성을 희석하고 회개의 필요성을 소멸시켜 멸망으로 이끕니다. 방심은 방종을 낳고, 타협에서 타락이 시작됨을 잊지 맙시다.
19,21,27절
언약의 축복만 있지 않습니다. 언약의 저주도 있습니다. 언약 백성이라도 하나님의 언약을 저버리고 우상숭배에 빠진다면 그들 역시 버림당할 것입니다. 축복과 저주를 가늠하는 것은 언제나 겸손이고, 순종입니다.
22~28절
우상숭배의 대가는 혹독할 것입니다. 경고는 경고에서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 자손들과 이방인들이 두렵고 당혹스러워 그 이유를 물을 정도로, 다시는 재건되지 못한 소돔과 고모라처럼 심판받을 것입니다. 허망한 우상처럼, 은총을 배반하고 욕망에 이끌려 산 자들의 운명도 허망할 것입니다.
29절
‘감추어진 일’에는 믿음을 요구하시고, ‘나타난 일’에는 순종을 요구하십니다. 하나님 뜻의 전모를 늘 선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불순종을 정당화할 만큼 모호한 것도 아닙니다. 불순종을 합리화하는 모습이 나에게는 없는지 돌아봅시다.
기도
탐욕의 악순환을 끊고 언약의 선순환을 회복하게 하소서.
'말씀 묵상 > 매일 성경(210228-업로드종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623(토)-강하고 담대하라 (신명기 31:1-13) (0) | 2018.06.23 |
---|---|
180622(금)-회개, 회복의 길 (신명기 30:1-20) (0) | 2018.06.22 |
180620(수)-언약으로의 초대 (신명기 29:1-13) (0) | 2018.06.20 |
180619(화)-불순종의 최후 (신명기 28:58-68) (0) | 2018.06.19 |
180618(월)-불순종의 대가 (신명기 28:36-57)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