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원의 이정표/장별요약강해-신약

[눅 5장] 자신을 드러내시는 예수

by JORC구원열차 2014. 9. 30.

[눅 5장] 자신을 드러내시는 예수

 

[내용개요]

 

예수께서 게네사렛 호수 가에서 복음을 가르치시고 난 후에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제자로 삼고 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할 것임을 말씀하셨다(1-12절). 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몸에 문둥병 들린 자를 치유해 주셨다(13-15절). 하루는 예수께서 거하시는 집 앞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 있어서 들어갈 수 없는 지경이었는데, 중풍병자를 메고 온 사람들이 꾀를 내어 지붕의 기와를 벗기고 중풍병자를 침상 채로 달아 내렸다. 예수께서는 그의 믿음을 보시고 죄를 사해 주시고 병도 고쳐 주셨다(16-26절). 그 후 예수께서 다니시다가 세관에서 세리인 레위를 보시고 제자로 삼으셨다(27-39절).

 

[강 해]

 

이제 예수께서 자신의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십니다. 메시야로서 억압과 눌림을 풀어주고 해방을 선포하는 사역이 진행되는 것입니다. 더 이상 사단의 권세를 용납하지 않으시고 메시야의 다스리심을 선포하시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희망과 기쁨을 주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억압과 사슬이 되고 있는 죄의 권세를 없애 버리시고 자유케 하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눈에서 눈물을 없애시고 슬픔을 거두어 가십니다.

 

1.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1)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무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혼을 살리는 생명의 말씀입니다. 들을 귀 있는 자들은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습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며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은 우리에게 당신의 말씀을 전하시며 듣기를 원하십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많은 무리가 그 말씀을 들은 것을 보면서 우리의 영혼도 예수의 귀한 생명의 말씀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소리가 들릴 때가 바로 우리를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구원의 손길이 임하는 때입니다. 이것을 거부하는 자들은 구원의 반열에 설 수 없습니다.

 

a. 생명의 말씀(빌2:16).

b. 살았고 운동력이 있음(히4:12).

 

2) 예수의 명령과 성취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인간인 베드로에게 구주이신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제 더 이상 어부로서의 경험이 앞서서는 안 됩니다. 만물을 만들고 주장하시는 구주께서 말씀하시는 것에 전적인 순종만이 있을 뿐입니다. 그의 말씀은 그대로 이루어졌습니다.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메시야께서 인간의 일들을 앞서서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서 인간의 이성과 경험으로 해석하고 설명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짓입니다. 그의 말씀은 진리입니다.

 

a. 하나님의 명령(출4:6).

b. 그리스도의 명령(마28:20).

 

3) 예수를 좇는 자가 됨

시몬 베드로의 반응은 예수의 부르심에 대한 즉각적이고 절대적인 순종으로 나타났습니다. 베드로의 이러한 성품은 그로 하여금 예수의 말씀을 전하며 교회의 기초를 이루게 하는 중요한 일들을 감당케 합니다. 오직 말씀에 순종하는 자세가 칭찬과 상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예수를 좇는 자들에게 있어야 할 것을 채우시며 더 많은 것으로 베풀어주시는 분임을 믿는 것이 요구됩니다. 베드로는 이것을 갖춘 인물이며, 이것이 그를 복되게 한 것입니다. 우리도 예수의 부르심에 응답해야 합니다. 그를 믿는 믿음에 근거한 응답이 우리를 복되게 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a. 예수의 계명을 지킴(요14:15).

b. 자기 십자가를 짐(마16:24-25).

 

2. 권세를 나타내시다

 

1) 문둥병 환자를 고치심

예수께서 메시야로서 권세를 나타내시는 일들이 여러 가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병자들을 고치시는 것은, 육신의 질병으로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인간들에게 새로운 삶의 의지와 희망을 가져다주는 것입니다. 문둥병 환자의 애타는 소원을 들어주시는 예수의 일들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지면서 사람들은 이제 절망에서 희망에로 올 수 있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메시야의 고치심을 바라면서 그에게로 나아가는 것이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우리도 우리의 일들에 억눌려 있지 말고 해결하시는 분에게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a. 믿음으로 고침(민21:8-9).

b. 약 처방으로 고침(왕하20:7).

 

2) 중풍병자를 고치심

예수께서는 친구들에 의해 옮겨진 중풍병자를 보시고 죄 사함을 선포하셨습니다. 이것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는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알고 계시는 예수께서는 죄 사하는 권세가 자신에게 있음을 보여 주시기 위해서 행하셨던 것입니다. 메시야이심을 밝히시고 모든 사람들이 그에게 나아와 경배하는 것이 있어야 하지만 이를 거부하는 자들에게 계속해서 기회를 주시는 하나님의 긍휼을 알게 하십니다. 그러나 인간의 완악함은 하나님의 긍휼마저 배반하는 악을 행하고 맙니다.

 

a. 친구의 믿음(막2:5).

b. 중재 기도(민12:13-15).

 

3) 죄 사하는 권세

예수는 자신에게 인간의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음을 선포하십니다. 그러나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예수의 이러한 선포에 자신들의 마음을 굳게 닫았기 때문에 걸림돌이 되고 맙니다. 인간의 죄를 사하는 권세를 행하시는 분이 바로 인간을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내어 주시는 분임을 알지 못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이 마음을 강팍케 한 것입니다. 예수는 자신을 내어 주시고 인간의 죄를 사하는 권세를 행사하시는 것입니다. 이렇듯 권세에는 그만한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알고 우리의 생활에서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할 것입니다.

 

· 그리스도의 피 흘림(히9:22).

 

3. 죄인들을 부르시는 예수

 

1) 레위를 부르심

레위는 세리입니다. 당시의 세리는 죄인의 대명사였습니다. 그들의 악행은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에 대한 착취로 원성을 쌓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세리인 레위를 부르셨습니다. 이것은 예수께서 우리들을 구원하시되 바로 죄인들을 구원하신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의인이라고 자부하는 한 우리에게 구원이 임하지 않습니다. 구원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죄인 됨을 철저히 인정하고 하나님 앞에 엎드리는 자가 구원의 은혜를 받게 됩니다.

 

a. 예수의 인정을 받음(마12:49-50).

b. 예수의 말씀에 거함(요8:31).

 

2) 죄인을 위해 오심

예수께서 이 땅 위에 오신 것은 죄인들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오신 것입니다. 죄인이 없다면 구원이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예수는 자신의 일을 해결할 수 없는 죄인들을 위해서 오신 분입니다. 이제 죄인들에게 구원의 희망이 선포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임하신 말씀은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셔서 죄인 된 우리를 구원하시기로 하셨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자신의 죄인 됨을 깨닫는 것이 구원의 시작입니다.

 

· 하나님이 귀히 여기심(요12:26).

 

3)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함

예수께서 선포하시는 복음은 유대인들의 의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새로운 시대에는 그에 걸맞는 새로운 의식이 있어야 합니다. 언제까지나 죄의 종으로서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이제 죄에서 벗어나 의인의 반열에 서게 되었는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새로운 삶의 방식대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길로 걸어가야 합니다. 복음에 합당한 삶이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하나님의 법에 따라 살아야 합니다.

 

a. 여호와를 앙망하는 신앙(사40:31).

b. 소원을 만족시킴(시103:5).

 

결론

 

이제 예수의 복음이 선포되어지고 새로운 나라가 임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그의 말씀대로 살아가야 합니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삶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죄의 종으로 자신을 버려두었던 시대에서 벗어난 사람들의 삶은 그리스도의 복음과 말씀에 따르는 아름다운 모습이어야 합니다. 이 일을 위해서 예수는 자신을 주시고 많은 사람들을 얻으신 것입니다.

 

[단어해설]

 

1절. 게네사렛 호수. 갈릴리 호수의 다른 이름.

4절. 깊은 데. 고기가 잡히지 않는 곳. 이곳에 그물을 던지라는 예수의 명령은 제자들을 뽑기 위한 하나의 시험 과정으로 이해.

17절. 바리새인. '분리하다, 구분하다'의 뜻을 가진 바리새인들이 가진 형식적이고 외식적인 관례들은 그들의 교만과 우월감에서 비롯됨을 예수께서 자주 지적하셨다.

21절. 참람. 하나님의 신성에 대한 모독을 의미.

24절. 인자. 원어적으로는 '인간의 아들'을 뜻하지만 예수의 성육신을 강조하는 말로 자주 사용.

 

[신학주제] - 죄 사함의 권세.

 

예수께서는 중풍병자를 데리고 온 사람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에게 죄 사함을 받았다고 선언하셨다. 타인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의 죄 사함을 선언하시는 모습은 다른 성경의 말씀들과는 모순되게 보인다. 그러나 본장의 중풍병자 이야기의 핵심 주제는 예수께 죄 사함의 권세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중풍병자를 데리고 온 사람들은 예수께서 단지 병만 고쳐 주시는 것이 아니라 죄 사함의 권세도 있다는 것을 믿을 만한 믿음의 소유자들이었다. 예수께서는 그들의 그러한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의 죄가 사하여졌다고 선언하신 것이다. 함께 있던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하나님 외에는 죄 사함의 권세가 없는데 예수께서 죄 사함의 권세를 선포하시는 것을 보고 참람하고 신성 모독적인 발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런 생각을 아셨기 때문에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음을 가르치신 것이다.

 

[영적교훈]

 

베드로는 밤새 한 마리의 물고기도 잡지 못했으나 말씀에 의지하여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렸더니 엄청나게 많은 물고기를 잡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베드로의 순종을 배울 수 있고, 말씀의 깊은 곳으로 가야만 큰 축복을 받을 수 있음도 배우게 된다. 한편, 고기를 심히 많이 잡고 난 직후에 베드로는 자신의 죄인 됨을 고백한다. 초자연적인 능력을 체험하면서 자신의 죄인 됨을 깨닫는 베드로의 모습은 우리에게 많은 도전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