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자 양육 자료실204

24-그리스도의 왕적 사역 24-그리스도의 왕적 사역 내가 왕이니라(basileu" eijmi egw; 바실류스 에이미 에고) 빌라도가 예수께 '네가 왕이냐'고 물었다. 그의 이 질문은 오만한 책망의 성격을 내포한 것이었으며 적어도 예수가 자신의 정치적 경쟁자가 아님에 안심을 함께 한 안도의 질문이었다. 빌라도는 자신의 만족에 그치지 않고.. 2009. 1. 15.
23-그리스도의 재림 사역 23-그리스도의 재림 사역 1. 주의 재림 사역 칼빈은 메시야의 재림에 대하여 말하기를 '엄격히 말하자면 그리스도가 세상을 멸망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구원하시기 위하여 오실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마치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은 원수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오시는 꼴이 된.. 2009. 1. 15.
22-그리스도의 심판 사역 22-그리스도의 심판 사역 1. 남아 있는 심판 사역 심판(審判 )Judgement [심판](미쉬파-트),[심판한다](샤-파트), [심판장](쇼-페트)은 모두 원래, 심판자가, 정의를 밝히기 위해, 내리는 판결을 의미하는 [샤-파트]에서 나오고 있다. 고대 이스라엘에 있어서는, 심판은 주로 제사장, 선지자, 왕에 의해 백성의 .. 2009. 1. 15.
21-속죄의 완전성 21-속죄의 완전성 1. 속죄의 완전성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에 인간의 공로가 추가된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그리스도의 속죄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불신앙이다. 그리스도의 속죄가 택한 자의 모든 죄를 최종적으로 종결시킨 것이다. 1) 속죄의 역사성 속죄는 과거의 역사적 사건이다. 과거에 속죄를 수.. 2009. 1. 15.
20-그리스도의 신분 20-그리스도의 신분 1. 메시야는 우리를 위해 비하의 신분이 되셨다.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신적 위엄을 보류하시고 율법의 요구와 저주 아래 자신을 내놓으셨다. 이 사실을 비하라고 한다. 비하의 신분으로 취하신 것은 성육신, 율법에 복종, 수난, 사망, 땅에 묻히심 이다. 1) 성육신 성육신 .. 2009. 1. 15.
19-인성에 대한 이단들 19-인성에 대한 이단들 1. 인성에 대한 이단들의 견해 1) 도케데파--(70-170년)--인성 부인 도케티시즘(가현설)은 몸을 포함한 물질전체가 다 악하다는 그노시스주의에 근거하여 예수님의 인간성은 단지 사람으로 보여지도록 나타난 존재라고 주장하였다. 예수님은 인간의 탈을 쓰고 나타난 하나님이라고 .. 2009.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