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이정표/핵심성경연구-구약

다니엘6 - 단 5장(벨사살의 운명)

JORC구원열차 2009. 7. 9. 10:08

5. 다니엘 5장 / 벨사살의 운명

 

4장과 5장 사이에 20여 년이 흐르고 느부갓네살왕은 무대에서 퇴장하였다. 그를 계승한 아들은 몇 년간만 통치를 하다가 그의 처남에게 암살을 당하였고, 이 사람도 역시 4년 간을 통치하였으며 전쟁에서 죽었다. 이 두 통치자들은 매우 짧은 기간만 보좌를 차지하였었는데 이들 중에서 두번째 인물은 나보니두스였다. 그는 사실상 느부갓네살의 사위였으며 전대 왕들 중의 한 사람의 과부와 결혼하였다. 나보니두스는 그 당시 바벨론 제국의 왕이었으며, 그의 아들 벨사살은 바벨론 도성의 군주였다. 다니엘이 왜 세번째 통치자였는지 이해가 될 것이다(7, 29절). 5장의 사건들이 일어나는 동안에 나보니두스왕은 4개월간 메대 바사의 포로가 되어 있었다. 왕이 겪은 일을 살펴보자.

 

1. 잔치를 즐김(1-4절)

 

이 축제는 위대한 바벨론의 신들 중의 하나를 예배하는 것이었으며 주전 539년 가을에 있었던 일이다. 고고학자들은 1,000명의 손님들을 대접하기에 충분한 넓은 방이 있는 바벨론의 궁터를 발굴하였다. 이들은 또한 그 벽이 흰 분필과 같은 재료로 덮여 있었던 것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벽에 글씨를 쓴 사건을 설명해 준다. 이 구절들에 나오는 주된 것은 포도주를 마시는 일이다. 술은 이 세상의 바벨론 “체제”와 언제나 관련이 되어 있다(렘 51:7/계 14:8/계 17:1-5/계 18:3/계 18:13). 왕은 그의 신들에게 축배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4절/ 계 9:20) 유대인들의 신을 모욕하기를 원하였다. 그래서 왕은 신성한 성전의 기물들을 가져다가 우상을 섬기며 신을 모욕하는 잔치에 사용하게 하였다(단 1:2). 5장 2절에 나오는 “아버지”라는 단어는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1절과 13절에서도 나온다.

 

성 안에서 벨사살의 잔치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메대 바사의 강력한 군대가 이미 그 성의 문 밖에 와 있었음을 명심하자! 왕은 그 요새가 함락되지 않으리라는 대단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성문 밖의 침략자들을 비웃었다.

 

오늘날 우리 세계의 모습이다! 심판이 막 임하려고 하는데 인간들은 결혼을 하며 거짓 신들을 예배하고 있다. “저희가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멸망이 홀연히 저희에게 이르리니”라고 데살로니가전서 5장 3절은 말한다. 바벨론은 약 10m높이에 26m넓이의 성벽을 가진 강력한 요새였다. 유브라데강이 그 성을 대각선으로 흐르고 있었으며 큰 놋으로 만든 문은 그 성의 출입을 조절하였다. 누가 이같은 성을 함락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하지만 그들은 함락되었다.

 

2. 두려움을 나타냄(5-9절)

 

손님들은 신비한 손이 나타난 것을 즉각적으로 보지 못한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왕은 그들의 반대편 벽면, 그들의 머리 위에 씌어진 글씨를 보았다. 왕이 떨며 무릎을 부딪치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손님들에게 참으로 큰 충격이었을 것이다! 술은 이제 그에게 용기를 줄 수 없었으며 하나님의 메시지를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다. 7절에는 “왕이 소리를 질렀다”고 되어 있다. 그는 손과 글씨의 뜻을 알지 않으면 안 되었다. 사실상, 그는 이것을 설명하는 사람에게는 그 나라의 세번째 지위를 약속하기까지 하였다(참으로 어리석다! 몇 시간만 지나면 벨사살은 살지도, 다스리지도 못할 것이었다.).

 

언제나 그렇듯이 왕의 “전문가들”은 벽의 글씨를 해석할 수 없었으며 이 일은 왕으로 하여금 더욱 신경을 쓰게 만들었다. 그가 자기의 할아버지 느부갓네살의 고문이었던 다니엘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참으로 이상하다. 그러나 벨사살은 조심성이 없는 젊은이였으며(이때 35세쯤 되었다) 영적인 문제보다는 권력과 쾌락에 더욱 관심이 있었다. 이 성이 망한 것은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니다.

 

3. 장래를 깨달음(10-29절)

 

왕의 어머니가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현명한 여인은 벨사살의 아버지 나보니두스가 왕국에서의 자기의 권력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혼했던 느부갓네살의 과부인 듯하다. 어찌 되었든지 그녀는 연회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경악할 일에 대하여 듣고 왕에게 조언하려고 왔다. “왕이시여, 만세수를 하옵소서!”라고 말했는데 왕은 그 밤이 새기 전에 죽게 되어 있었다. 그녀는 인사를 하고 다니엘에 대하여 말하였으며 그가 어떻게 왕의 할아버지에게 조언하였었는가를 말하였다. 다니엘은 이제 노인이 되어 있었으며 공적인 정무에서 “은퇴해” 있었다. 정부 관리자들의 명예 회원으로서 그는 아마도 그 잔치의 손님으로 초대를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더럽히거나 자기의 간증을 손상시키기를 원하지 않았다. 그의 분리된 위치로 말미암아 다니엘은 하나님께 영광을 얻었다(고후 6:14-18).

 

왕은 다니엘에게 감동을 주려고 하였지만(13-16절) 다니엘은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하나님의 선물에 비교할 때 왕의 선물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벨사살은 이러한 선물을 줄 수 있을 만큼 오래 살 수가 없는 것이다. 글씨를 해석하기 전에 다니엘은 왕에게 설교를 하였으며 그의 할아버지를 실례로 제시하였다. 그는 왕의 교만과 죄에 대하여 경고하며 하나님께서 느부갓네살을 맹렬하게 심판하셨음을 상기시켰다. “당신은 이 모든 일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사악한 삶을 살려고 고집하였으므로, 하나님은 당신에게 심판의 멧세지를 보내셨습니다. 이제는 너무 늦었습니다!”라고 다니엘은 설명하였다. 하나님은 느부갓네살에게는 회개하도록 일 년이란 시간을 주었으나(4:28-33), 벨사살이 회개할 기간은 없었다. 그의 운명은 정해져 있었다.

 

이제 그 해석을 들어보자. 그 글은 갈대아어로 되어 있었다. 메네 메네, 데겔, 베레스,(25절에 나오는 우바르신은 베레스의 복수형이며 “우”는 “그리고”라는 뜻의 갈대아어이다). 바벨론에서 미나와 데겔은 서로 다른 무게의 단위들이다. 베레스는 단순히 “나눈다”는 뜻이다. 그래서 바벨론의 술사들이 벽에 이 단어들이 나타났을 때 그 의미를 알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다니엘에게 그 해석을 알게 하셨다. “수를 세었다... 무게를 알았다... 나뉘어졌다!”벨사살의 날수가 계산이 되었으며, 때가 찼다. 하나님의 척도로 무게를 달았더니 그는 중량이 모자란 것이 드러났다. 이제 그의 왕국은 메대 바사에 의해 정복당하고 분열될 것이었다. 그 시각에 다리오는 성문에 와 있었던 것을 명심하자!

 

벨사살은 떨고 두려워하기는 하였으나 하나님의 메시지를 믿지는 않았다. 우리는 그가 회개했거나 관심을 가졌다는 증거를 볼 수 없다. 그는 왕국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기나 한듯 자기의 약속을 지켜 다니엘을 세번째 통치자로 삼았다. 왕의 교만, 육욕, 무관심, 자기만족이 그를 몰락으로 이끌어 갔다.

 

4. 운명에 직면함(30-31절)

 

만일 벨사살이 선지자 이사야를 연구하였더라면 바벨론이 어떻게 점령을 당하게 될 것인지 알았을 것이며 누구에 의해 점령당할 것인지도 알았을 것이다. 바사의 정복자 고레스는 메대를 패배시키고 바벨론으로 내려오게 되어 있었다(사 41:25/사 45:1-4). 그는 운하를 파서 유브라데강의 유로를 변경시킨 뒤에 성문 아래로 자기의 군대를 몰래 들여보낼 것이었다. 바벨론 사람들은 군인들이 땅을 파는 것을 보았지만 성벽을 타고 넘을 언덕을 쌓고 있는 줄로 알았다. 사실은 물줄기를 바꾸어 놓고 있었다. 그 성은 왜 모르는 사이에 점령을 당하였던가? 그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술에 취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날은 굉장한 종교축제일이었으며 백성들은 방어를 생각하기보다는 쾌락에 빠져 있었다. 적은 연회장으로 곧장 와서 왕을 살해하였다. 우리의 세계에 대한 경고가 아닐 수 없다. 오늘날 우리는 이와 같이 쾌락에 열중한 나라에 있어, 모르는 사이에 어떤 적들이 우리를 점령하게 되기란 쉬울 것이며, 역사는 이러한 일을 반복할 것이다.

 

메대의 다리오란 누구인가? 이사야는 고레스가 바벨론을 점령할 것이며 유대인을 석방할 것이라고 말했었다(사 44:28-45:13/단 1:21/단 10:1). 다리오는 다니엘 6장 1, 6, 9, 25, 28절과 9장 1절, 11장 1절에 “왕”으로 언급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답은 5장 31절에서의 “나라를 얻었다”는 말에서 발견된다. 그 “얻었다”는 “받았다”는 뜻으로 번역될 수 있다. 고레스의 군대장관인 다리오는 바사의 왕인 고레스로부터 왕국을 받아 그를 대신하여 바벨론을 통치하였다.

 

6장 28절에서 우리는 바벨론이 이중의 왕권으로 통치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고레스는 제국의 왕이었으며, 다리오는 바벨론 및 이에 연관된 지역을 통치하였다. 고레스는 위대한 정복자로서 바벨론에 입성하였으며, 유대인들을 비롯하여 그 백성들을 지혜롭게 다루어 나갔다. 유대인들이 그들의 나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해도 좋다는 칙령을 발표한 사람도 고레스였다(스 1:1-4/사 44:28). 결국, 제국들의 흥망성쇠는 하나님의 백성을 위하시는 그의 계획의 일부였던 것이다(롬 8:28).

 

539년에 바벨론이 멸망한 것은 요한계시록 17-18장에 나오는 바벨론(마귀의 세상 제도)이 장차 망하게 될 것에 대한 모습을 예증하는 것이다. 성경을 믿는 그리스도인들은 “벽에 나타난 글씨”를 이제는 볼 수 있으나, 눈먼 세상의 통치자들은 그들의 교만과 쾌락 속에서 계속 지낼 것이다. 주님이 오고 계시며 문에 와 계심을 조금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약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