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이정표/그리스도의 십자가60 6-3. 누가 그 대속물인가? 6-3. 누가 그 대속물인가? 정확하게 누가 우리의 대속자였는가? 누가 우리를 대신해서 우리의 죄를 담당하고, 우리의 저주가 되었으며, 우리의 형벌을 지고서, 우리의 죽음을 죽은 것인가? 분명히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다”(롬 5:8). 이 그리스도는 누구였.. 2009. 11. 11. 6-2. 유월절과 ‘죄를 담당함’ 6-2. 유월절과 ‘죄를 담당함’ 유월절을 논의하는 첫 번째 이유는, 원래의 유월절이 이스라엘의 국가 생활의 시작이었다는 것이다. “이 달로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출 12:2)라고 하나님은 말씀하셨다. 그 달을 달력의 시작으로 삼은 것은, 그 달에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오랜.. 2009. 11. 11. 제6장-하나님의 자기희생 / 6-1. 구약의 희생제도 제 6 장 하나님의 자기희생 크로포드는 “하나님이 어떤 때는 그분의 속성 중 한 가지에 따라서 행하고 다른 대는 또 다른 속성에 따라서 행하신다고 가정하는 것은...아주 잘못된 것이다. 하나님은 언제든지 동시에 그 모든 것에 합당하게 행동하신다. ...특별히 하나님의 공의와 하나님의 자비에서, .. 2009. 11. 11. 5-5. 하나님의 거룩한 사랑 5-5. 하나님의 거룩한 사랑 하나님이 죄인들을 용서하시고 그들을 자신과 화목 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택하시는 방법이, 무엇보다도 먼저 그 자신의 성품과 완전히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귀에게 사로잡힌 자를 건지기 위하여 마귀를 격퇴시키고 그의 무장을 해제시키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사.. 2009. 11. 11. 5-4. 하나님이 스스로를 만족시키심 5-4. 하나님이 스스로를 만족시키심 하나님이 죄인을 용서하실 수 있기 전에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다섯 가지로 표현했다. 어떤 사람은 마귀의 요구를 ‘만족시킴’으로써 마귀를 전복시킨다고 말하고, 또 다른 사람들은 하나님의 율법, 명예 혹은 공의를 ‘만족시키는 것’을 말하고, 마지.. 2009. 11. 11. 5-3. 하나님의 명예와 공의를 만족시킴 5-3. 하나님의 명예와 공의를 만족시킴 안셀름은 죄를, ‘하나님의 몫(due)을 하나님께 돌리지 않는 것’, 즉 ‘ 리의 전체 의지를 하나님의 의지에 복종시키는 것이 우리가 하나님께 돌려야 할 하나님의 몫’ 으로 정의 한다. 죄를 짓는 것은, ‘하나님의 소유를 하나님에게서 빼앗는 것’이다. 이것은 .. 2009. 11. 11.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